1. 본문
1) 원고는 한글 프로그램(한글과 컴퓨터)으로 작성한다.
2) 논문 목차의 구성은 Ⅰ, 1, 1), (1), ⓘ 순서로 한다.
3) 인용문의 경우 한문이나 외국어 자료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원문은 필요에 따라 각주에 수록한다. 단 새로 소개되는 原文(한문 혹은 영문 등) 자료나, 금석문 등과 같이 史料의 특성을 드러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이 경우에도 해석을 병기하거나 각주에 넣을 것을 권장한다.
4) 본문과 구분되는 인용문은, 본문의 위·아래로 각각 한 줄씩을 띄우고, 왼쪽의 여백을 본문보다 두 글자 들여 쓴다.
5) 본문 속에서 줄을 바꾸지 않고 이어지는 인용문은 겹따옴표(“ ”)로 묶는다.
6) 겹따옴표로 묶인 인용문 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 ')로 묶는다.
7) 인용한 단어나 구절은 홑따옴표로 묶는다. 또 인용자에 의해 강조되거나 변형된 인용구는 고딕 또는 방점으로 처리한다.
8) 인용문은 각주에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를 제시해야 한다.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인용서를 밝혀야 한다.
9) 논문의 본문 중에 저자(혹은 연구자)의 이름 밑에 붙이는 존칭은 생략한다.
10) 그 밖의 사항은 관례를 따른다.
 
2. 註
1) 모든 註는 脚註로 처리한다.
2) 저서는 저자의 이름, 제목(과 권수), 서지사항(출판지, 출판사와 출판연도), 쪽수의 순으로 밝힌다. 단 국내에서 출판된 서적의 경우, 출판지를 생략할 수 있다.
3) 편저(혹은 역주)는 편자(혹은 역주)의 이름 끝에 '編著(혹은 역주)' 또는 ed.를 적는다.
4) 저서 중 번역본은 원저자 이름, 출판연도, 원제목(과 권수) 등을 밝힌 뒤, 번역자의 이름 역, 출판연도, 번역서 제목(과 권수), 출판사, 인용쪽수를 밝힌다.
5) 논문은 필자 이름, 발행연도, 논문제목, 게재지의 이름(과 권수), 발행지, 발행처, 쪽수의 순으로 밝힌다. 단 국내에서 출판된 서적의 경우, 출판지나 출판처를 생략할 수 있다. 외국서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6) 저서나 정기간행물 등의 제목은 『 』 안에, 논문은 「 」안에 넣는다. 단 서양어로 된 저서나 정기간행물 등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며, 논문 제목은 “ ”안에 넣는다.
7) 같은 논저를 두 번 이상 인용할 경우, 저자와 출판 연도, 인용쪽수를 기재한다. 같은 문헌을 다시 언급하는 경우에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위의 글(책)" "앞의 글(책)"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서양문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Ibid." "op. cit." 등의 표현 역시 사용하지 않는다.
 
3. 논문 초록과 주제어
1) 머리말 앞에는 국문초록과 5~8개의 국문 주제어를 첨부하고, 맺음말 뒤에는 영문초록과 5~8개 이상의 영문 key words 와 함께 첨부하며, 초록은 2쪽 이내로 제한한다.
2) 영문초록에는 영문으로 된 저자 이름과 논문 제목을 기재한다.
3) 연구자는 소속과 직위를 명기하며, 공동연구의 경우 책임연구자와 공동연구자를 반드시 표시하되 각각 그 소속과 직위를 명기한다.
 
4. 참고문헌 작성요령
1) 참고문헌은 논문의 연구와 인용된 자료에 한정하여 수록하며 완전한 문헌정보를 담는다.
2) 먼저 연구에 참고한 자료들을 제시한 뒤, 단행본과 논문의 구분 없이 논문의 작성언어를 기준으로 한국어문헌과 외국어문헌을 구분하여 작성한다.
3) 참고문헌의 배열순서는 한국어 논저의 경우 저자의 가나다순으로 한다. 동양권 중국과 일본 논저의 경우 한국식발음 가나다순으로 한다. 서양논저의 경우는 저자 성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그 외 다른 국가의 언어로 된 논저는 동양과 서양 문헌의 관례에 준하여 따른다.
4) 동일저자의 같은 연도 논저는 a, b, c 등으로 나타낸다(홍길동, 2006a, 홍길동, 2006b).
5)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표기방식을 따르되, 국내도서의 경우 간행지에 대한 지역정보는 생략할 수 있다.
- 동양서: 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서명』, 출판지역, 출판사.
- 서양서: 저자(성, 이름), 출판연도, “논문명”, 서명(이탤릭체)(출판지역: 출판사).
- 인터넷자료: 제작자, 제작연도, “주제명”, 인터넷주소 (검색일자).
 
5. 종합 예시
1) 단행본
정구복, 2008, 『韓國近世史學史-朝鮮中·後期篇-』, 景仁文化社, 153-155쪽.
- 袁英光, 1989, 『中國近代史學史』(上冊), 江蘇古籍出版社. 23-32쪽.
- Margaret L. Anderson, 1983, Thinking about Women(New York: Macmillan), p. 33.
- Clare Midgley ed., 1998, Gender and Imperialism(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30-43.
2) 단행본 내의 논문(편저, 공저의 경우 포함)
3) 편저(혹은 역주)는 편자(혹은 역주)의 이름 끝에 '編著(혹은 역주)' 또는 ed.를 적는다.
- 盧鏞弼, 2012, 「근현대 한국의 밥상」, 『韓國稻作文化硏究』, 한국연구원, 379-451쪽.
- 김태준, 2004, 「유길준의 개화사상과 민족아 형성」, 서연호 외, 『한국 근대지식인의 민족적 자아형성-일제 식민지 체험을 넘어서』, 소화, 22-25쪽.
- 張玉法, 1991, 「現代中國史的分期問題」, 『中國現代史論文選集』, 華世出版社, 1-20쪽.
- Catriona Kelly, 2001, “Educating Tat’yana: Manners, Motherhood and Moral Education, 1760-1840,” Edmondson Linda ed., Gender in Russian History and Culture(London: Palgrave Macmillan), pp. 3-15.
3) 정기간행물
- 백영서, 2005, 「동양사학의 탄생과 쇠퇴」, 『한국사학사학보』 11, 179- 185쪽.
- 桑兵, 2002, 「保皇會的宗旨岐變與組織離合」, 『近代史硏究』 第3期, 41-99쪽.
- David Harvey, 2000, “Cosmopolitanism and the Banality of Geographical Evils”, Public Culture, vol. 1, no. 2, p. 529.
4) 미간행 논문발표집
- 예) 장일규, 2012, 「계원필경집과 당 문인의 문집」,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최치원과 동아시아』, 사단법인 동북아최치원연구회, 23-25쪽.
5) 신문 자료
- 『大韓每日申報』, 「早稻田討論事件」, 1907년 4월 9일자.
- 『京鄕新聞』, 1907년 7월 12일자.
- Daily Telegraph, May 24, 1870.
6) 인터넷 자료
- 예) James E. Kefer, 2004, “Josephine Butler”, http://justus.anglican.org/ resourcesbio/25.html(검색일: 2004년 3월 8일).
7) 原書 또는 譯書의 경우, 논문은 다음에 준한다(이탤릭체 주의).
- Anne D. Birdwhistell, 1989, Transition to Neo-Confucianism-Shao Yung on Knowledge and Symbols of Reality(Californi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183-207.
- Richard J. Evans, 1977, The Feminists: Women’s Emancipation Movements in Europe, America and Australia 1840-1920, 정현백 역, 1997, 『페미니스트: 비교사적 시각에서 본 여성운동 1840-1920』, 창작과 비평사, 78쪽.
8) 문헌 사료 인용
- 『조선왕조실록』 등 흔히 인용되는 국내 사료는 다음과 같이 한다
-『宣祖實錄』 卷3, 2년 5월 21일 甲子조. “上曰, 古事不能詳知, 但見武定寶鑑, 則世祖受禪及皇甫仁·金宗瑞·成三問·朴彭年被罪之事, 昭載矣”
-『星湖先生全集』 卷47, 「雜著」, <三韓正統論>. “東國之歷代興廢, 略與中華相終始, 檀君與堯竝興, 至武王受命, 而箕子定封, 意者檀君之後.”
- 班固, 『漢書』 卷65, 淸乾隆無影殿刻本. “使蘇秦張儀與僕竝生於今之世 曾不得掌故 安敢望常侍郞乎 故曰時異事異”
9) 고유 번호가 있는 특수 자료
- 공공기관 소장 유물로 소장처와 고유번호를 표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 柳成龍, 『懲毖錄』 卷1 (국립중앙도서관, 古2153-8-1).
10) 중략 표시는 … 로 하며, 괄호가 중첩될 때는 [...( )...] 와 같이 처리한다.
11) 표와 그림은 다음과 같이 표 또는 그림의 번호와 제목을 단다 .
- <표 1> 제목
- 표, 그림 내용
- 출전 : 저자, 연도, 『책 제목』, 쪽수.
- 비고 : (필요할 경우, 표에 대한 註記)
12) 인명을 포함 지명이나 책 이름 등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한자의 경우(서양어 포함) 논지의 이해에 문제가 없을 경우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13) 그 밖의 사항은 일반적인 관례에 따른다.